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건 꼭 나온다] 한국어 교원 양성_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시험/ 국어 문법/ 기출 문제 핵심 요약(8) 한국어의 특징

한국교원양성 시험

by 쫑메이 2020. 11. 5. 00:37

본문

 

 

 

 

 

 

 

자격증 시험의 핵심은 패턴이고,

그중에 매년 출제되는 키워드가 있으니

핵심 키워드만 잡아도 반은 먹고 들어간다는 사실~

기출문제와 핵심 키워드 위주로 정리한 요약본을 공유합니다!

부족하지만 시험공부하시는데 도움되시길 바래요^^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큐넷 캡처

                         

 

 

 


       ④부사격 조사를 사용할 때, 사람이나 동물인 경우에는 '에게'를 사용하고,
          사물이나 식물인 경우에는 '에'를 사용한다                                                                   

                                                                                                                                  정답은 4번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큐넷 캡처

                                                                                                                           정답은 4번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큐넷 캡처





 

 

 

 

<한국어 교육 능력 검정 시험 기출문제> 큐넷 캡처

                                                                                                                             

 

정답은 3번




 

 

 

질문 한 가지를 해볼게요!

@만약 한국어와 한글이 도대체 뭐가 다르냐고 물어보면 

어떻게 대답하실 수 있나요?

 

 

.

.

.



@한국어란?
한국 사람들이 모국어로 쓰는 말이다

 

 

 

@그렇다면 한글은?
문자의 명칭이며, 한국어는 언어의 명칭이다




 

 

 

 

<한국어의 통사적 특성>

 

1.  교착어(첨가어), 표음문자
단어가 있을 때 문장을 만들 때 조사( 은, 는, 이, 가) 같은 게 붙어야
문장의 의미가 정확해지는 언어다. 

 


2.  SOV 그래서 한국어는 중요한 말이 끝에, 왜냐 한국어는 서술어 중심의 언어이다.
 그래서 한국어는 끝까지 들어봐야 안다

 



3.  좌분지 언어란?
왼쪽에서 왼쪽으로 뻗어간다.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

꾸미는 말+ 꾸밈을 받는 말 순서로 되어 있다.

 

 


4. 주어 목적어 생략 가능
대화 맥락 속에서 이미 앞서서 정보가 다 들어가 있어서

쌍방이 아는 경우에서는 주어,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예) 너 친구 만났니? 만났어. 

 



5.  경어 발달(대우법)
실제로 가르치는 경우에는 높임말을 쓰지 말아야 하는 말 같은 것을

잘 가르쳐야 한다. 

 



6.  색채어 감각어 발달

한국인이 흥이 많고, 표현하기 좋아하며

특히 자세히 표현하기를 좋아해 단어가 굉장히 풍부하다.

예를 들어, 노랗다. 노르 튀튀 하다. 노르스름하다, 누렇다. 등등
초급에서 빨주노초파남보 가르쳐 주는 것은 쉬운데,

색채어로 들어가서 노랗다와 누렇다를 분별해서 쓰는 것에 있어

누런 것은 좀 싫은 감정까지 들어가있는 그런 부분까지 이해시키는 것이 어렵다

 



7. 서술어 중심, 주제 부각형 언어, 담화 중심적 언어의 특성을 가진다.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
1. 어미와 조사가 발달한 언어

2. 한국어의 문법 형태는 대체로 한 형태가 하나의 기능을  가진다

3. 유정 명사와 무정 명사의 구분 이 문법에서 중요한 경우가 있다

4. 단위사, 즉 단위성 의존명사 가 발달해 있다.

 

 

 

 

 

 

<한국어의 음운적 특징>
1. 평음, 경음, 격음이 세 개씩 짝을 이루고 있다

2. 무성음과 유성음이 변이음으로 발음됨. 하지만 음운으로는 나누지 않는다

3. 순 치음과 치간음이 없다

4. 전설모음보다 후설 모음이 발달했다

5. 음절의 초성이나 종성에 2개 이상의 자음이 올 수 없다

6. 종성에는 [ㄱ,ㄴ,ㄷ,ㄹ,ㅁ,ㅂ,ㅇ] 7개의 자음만 발음된다

7. 발음에는 장단과 고저가 남아 있다. (표준 국어문법에는 장단만 인정)

8. 모음조화, 두음 법칙 현상이 나타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